Search

블로그를 Notion으로 이전하는 이야기

왜?

회사에서 노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됐다. 기존에도 문서정도는 노션에 쓰고 있었지만 스프린트에 사용하면서 노션의 장점, 자동화나 서드파티와의 쉬운 통합이 큰 장점으로 느껴졌다. 그러면서 “회사 노션에 써 놨던 문서, 조금 다듬고 가리면 블로그 글 하나 쯤은 뚝딱 나오지 않을까?” 라는 얄팍한(?) 생각이 드라이브를 걸었다.

vs. 기존 블로그

기존 블로그는 Hugo(Go의 static site gen) + Github hosted 블로그이다. 당시 저런 스택을 사용했던 이유와 결과는 이렇다:
Hugo: Go를 배워볼까 하는 마음에? → , 스타일 커스텀은 템플릿이 대부분이다.
Github hosted:
공짜 → , 하지만 이번 노션 이전할 때도 발목을 잡게 되는 요소였다.
git 레포 기반 마크다운 작성 → , 직관적이긴 하지만 에디터에 따라 기능 차이가 크고 이걸 스스로 커스텀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글에 사진 붙이는건 굉장히 힘들었다. 그리고 커밋도 은근히 귀찮다.
SEO → SEO가 잘 된다. 사실 노렸던 부분은 아닌데 이번에 옮길 때, 노션 페이지 서빙하는 다른 서비스들에서 최적화 구성을 하며 체감하게 됐다.

어떻게?

우피 같은 서비스가 있다는건 어렴풋이 알고 있었다. 하지만 “무료”로 하자는 간단하고 러프한 기준으로 시작을 했다. 그래서 초반엔 우피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

테스트 해본 서비스들

“노션 블로그”와 같은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내가 처음으로 발견한 “공짜”인 서비스이다.
노션 페이지를 Vercel이라는 무료 호스팅 SaaS에 연동시켜준다. 노션을 정적 렌더할 수 있게 Next.js로 보인다. 선택적으로 Google Search Console과 Google Analytics를 연동하여 SEO와 사이트 분석을 할 수 있게 해준다.
한국인이 만든 오픈소스이다(내심 빠르고 편한 지원을 기대했다). 서비스라고 하기엔 직접 구성할 부분이 많아서,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같은 느낌이다. 문서화도 덜 되어 있고 버그도 꽤 있다.
결정적으로 구글 서치콘솔을 연동했음에도 노출이 되지 않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그전에 엄청 질척였다. 아니, 구성 관련 글(나름 문서화 될 수 있을거 같은)을 옮긴 첫 블로그 게시글로 썼는데 보이지 않는다 . 시간 낭비했다.
무료 중에서 찾으려니 외국 서비스들이 더 종류가 많았다. 물론 무료 플랜은 기능이 많이 제한된. 그 중에서 첫번째로 써본 것이 simple.ink. 10초만에 구성을 할 수 있다고 자랑을 해서 함 써봤는데, 실제로 그랬다. 그리고 morethan-log 보다 노션 페이지를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morethan-log는 노션 페이지는 마치 admin과 같은 별개의 뷰, 데이터베이스이고 나름 그려주는 디자인과 구조가 따로 있다).
하지만 서브 페이지로 이동하려면 위 같은 링크로 막혔다. 카드 등록만 하면 결제는 안되는 조건으로 이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고(freemeium?? 속아준다 )해서 카드 등록했는데, 웬걸 안된다…
채널톡처럼 생긴 서비스로 채팅 문의를 하니 익숙한 분이 응대해줬다. 아니 이분 튜토리얼 영상에도 나온 이 서비스 founder 잖아?(Ch Daniel). 하지만 CS 문의를 통해서도 해결되지 않아(이번 VOC도 미적지근해져갔다…) 결국 simple.ink는 쓰지 않게 됐지만, 재밌게 본 것이 바로 이점이었다.
이 서비스는 1인 개발에 여타 서드 파티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걸로 보였다. 면면히 본건 아니지만 로그인, CS 등이 그랬다.
로그인: ???
CS: Crisp
특히 로그인이 감명 깊었다. Email (겨우 3자리의) OTP 기반으로 Passwordless 로그인 해주는 서비스이다. 웹 개발을 뗀지 오래되어 이게 당연한 트렌드인가 싶기도 하고… 아무튼 1인 개발을 가능케 하는 좋은 도구가 많다는 점에 놀랐다.
simple.ink와 비슷해 보이지만, 왠지 더 오래됐을거 같고 마켓 쉐어가 더 있을 거 같은(실제로 그런진 모른다)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의 무료 플랜에서 서브 페이지가 보이는 양식도 있다. 하지만 이런 서비스들을 시도해보며 나의 요구사항이 새로 생기고 다음어져 갔는데:
최대한 노션의 공개(publish) 페이지를 그대로 보여주자 → 노션 자체를 잘 쓰기 위해
노션 제공 템플릿인 Wiki(Company Home)을 기본으로 사용하자 → 이 템플릿의 뷰와 페이지가 무료 플랜에서 보여야 한다
super.so는 위 템플릿의 서브 페이지는 보여줬지만, 일부 뷰가 보이질 않았다.
super.so만의 장점은 템플릿이 꽤 많다는 것이다. 주로 HTML과 CSS 코드를 사용한 것들인데, 코드 적용을 하려면 유료 플랜을 써야 한다. 외국 서비스들은 무료 플랜이란 옵션이 있지만 기능이 제한적이고 그 바로 다음 플랜 가격이 꽤 비싸다.

oopy

돌고 돌아 우피다. 결국 돈내고 써야하기에 안써보려 했지만, 무료 체험 1주일을 사용했다. 위에서 정리된 두번째 요구사항을 만족한다. 우피 문서에서 본거 같은데, 우피가 지향하는 바는 노션 페이지는 최대한 있는 그대로 그리는 것이라고 한다.
우피에 달려 있는 서드 파티 앱이나 로그인 과정을 보면서는 simple.ink와 비슷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국내 서비스로 만들기 전에 벤치마크가 있었겠지. 그리고 어드민은… 뭔가 한국스럽다?라는 느낌이 들면서 정적 페이지 게시 서비스에 필요한 최소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것 같다. 스크롤바 표시라던가 여타 SEO, 분석 도구나 댓글 플러그인 추가 등. 어드민은 거의 맨 처음만 세팅하고 자주 갈 일이 없을거 같다. 스타일이나 콘텐츠 모두 노션을 꾸미는 식으로 할 테니.
CS는 좀 별로였다… 그래도 아마 결제하고 사용하겠지만, 셀프 서빙하거나 다른 서비스로 바꿀 기회도 노리고 있어야 할 거 같다.

Lesson Learned

‘겨우’ 블로그를 노션으로 옮기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썼다. 여기서 겨우라고 생각했던 것이 큰 오산이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나의 노션 블로그에 대한 요구사항 그리고 각 우선순위는 조금씩 변해 갔는데,
처음엔 무조건 무료인 것이 중요했다.
하지만 생각보다 무료이면서 원하는 기능을 잘 서비스 해주는 것은 없었고
가장 원하는 기능이란 무엇인가 다시 생각해봤을 때, “노션 페이지 있는 그대로 잘 서빙해주는 것”이다.
다른 노션 페이지에서 조금씩 다듬어 쉽게 블로그 콘텐츠로 옮기고 싶었다.
단순 마크다운 이상의 노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다. 색상 위계나 아이콘, 페이지 나누기 같은 꾸미기부터 페이지 데이터 관계 활용, 자동화 등(난 노션에 빠져 있다).
현실을 확인하니 지갑이 좀 열리더라
하지만 최근엔 엉성한 자동화/내재화 보다 매니지드 서비스가 훨씬 저렴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돌이켜보면, 처음부터 잘 정리할 수 있던 요구사항이 아니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블로그 운영에 돈이 든다는 것은 수익화에 대한 여지 또는 동기를 만드는 긍정적이 시그널로 바라보려 한다.

TODO

SEO & Analysis

preview 변경 확인하기
카카오톡
구글 검색 결과 확인하기
sitemaps 작동하는지 → oopy에서 페이지별 dynamic gen 되는지 확인
데이터 수집 확인하기